본문 바로가기

공정하다는 착각3

공정하다는 착각 요약 및 리뷰_ 마이클 샌델 2회독 한 저의 인생책을 소개합니다. 공정하다는 착각 요약 및 리뷰_ 마이클 샌델 2 회독 한 저의 인생책을 소개합니다.★ 공정하다는 착각 한줄평성공한 사람에게는 겸손을 가르치는 유교 경전이 되고, 성공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치유를 건네는 따뜻한 이의 편지 한 통이 되는 두 얼굴의 책★ 공정하다는 착각 세줄요약1) 지금 사회는 성공과 성공하지 못한 것을 개인의 책임으로 돌리는 능력주의가 만연해 있고, 그에 따라 승자는 오만을, 패자는 자책감을 갖게 되었다.2) 실제로 뜯어보면 성공의 여부는 운에 상당부분 좌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3) 우리는 공동선을 추구해야 한다. 건실한 공동체 의식과 겸손이 필요하다. ★ 공정하다는 착각 긴 리뷰드디어 제 인생책인 마이클 샌델의 베스트셀러 공정하다는 착각에 대해 목차 별 주요 내용 요약과 저의 생각을 리.. 책 리뷰 2024. 5. 12.
[능력주의] 과연 공정한 것인가? _ 책 '공정하다는 착각'에 나온 능력주의 개념 설명 능력주의는 과연 공정한가? 오히려 불평등의 격차를 벌어지게 하고 있다는 비판에 대해 마이클 샌델 교수의 베스트셀러 '공정하다는 착각'의 내용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능력주의(Meritocracy) : 부나 권력과 같은 희소한 자원을 분배할 때 사람의 재능, 노력 및 성취도를 평가하는 기준을 마련하고 그러한 외부적인 평가 기준에 따라 차등적으로 대우하는 것을 긍정하는 정치 철학 현대사회는 바야흐로 능력주의의 시대입니다.남녀노소, 정치의 좌우를 가리지 않고 이 능력주의에 공감하며, 내 능력과 성취에 따른 보상이 당연하고 정당한 것으로 믿습니다. 마이클샌델 교수의 베스트셀러 '공정하다는 착각'의 내용을 통해 능력주의를 3가지의 논지로 더 살펴보겠습니다. 1. 능력주의는 승자와 패자가 명확하며, 각각이 느낄 감.. 책에 등장한 개념, 단어 2024. 5. 9.
테크노크라시 Technocracy 뜻 _ 공정하다는 착각에서 등장한 개념 설명 테크노크라시(Technocracy)의 뜻과 개념을 설명드립니다.테크노크라시란 기술(Technology)과 관료(Bureaucracy)의 합성어로 과학적 지식과 기술을 가진 전문가 즉, 기술관료가 정치 및 경제를 관리한다는 뜻입니다.먼저 테크노크라시라는 단어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를 알려면, 민주주의(Democracy)부터 알고 넘어가야 합니다.민주주의(Democracy)는 민중(Demos)과 권력(Kratia)의 합성어가 어원이 된 단어이며, 국민이 권력을 가지고 그 권력을 스스로 행사하는 정치 형태입니다.테크노크라시는 과학기술을 포함한 여러 전문기술이 발전한 현대사회에서 민주주의가 일부 전문가 즉, 엘리트 관료에 의해 정치 및 경제가 관리되는 것을 뜻합니다.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 마이클 샌델 교수의 공정.. 책에 등장한 개념, 단어 2024. 5. 9.